For me
[Unity] 3) Exception 본문
예외 Exception
예정된 프로그램 흐름에서 벗어나는 사건
이것을 예외처리(Exception Handling) 해주어야함
Try ~ Catch 문
try
{
//TODO
}
catch(예외객체1)
{
// 예외 발생시 처리
}
catch(예외객체2)
{
// 예외 발생시 처리
}
finally
{
// 뒷정리
}
다음과 같이 진행
finally문은 try~catch 블록 마지막에 붙여 사용 (뒷정리)
예외가 일어나든 일어나지 않든 실행
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
class MyException : Exception
{
//...
}
예외 필터
catch 블록이 조건을 만족하는 예외 객체만 받아들이는 장치
when 절 이용
class FilterableException : Exception
{
public int ErrorNo {get;set;}
}
try
{
int num = GetNumber();
if(num < 0 || num > 10)
throw new FilterableException() { ErroNo = num };
else
Console.WritleLine($"Output : {num}");
}
catch(FilterableException e) when (e.ErrorNo < 0)
{
//...
}
'Unity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nity] 6) Addressable (0) | 2023.03.03 |
---|---|
[Unity] 5) Nullable (0) | 2023.03.01 |
[Unity] 4) Reflection 과 Attribute (0) | 2023.02.28 |
[Unity] 2) Delegate 와 Event (0) | 2023.02.28 |
[Unity] 1) Invoke 와 Coroutine의 차이 (0) | 2023.02.28 |